독서/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3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3장) 타입과 추상화 "초기의 지하철 노선도는 실제와 유사한 물리적인 지형 위에 구불구불한 운행 노선과 불규칙적인 역 간의 거리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었다. 문제는 이렇게 사실적인 정보가 오히려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들로 하여금 노선도를 이해하기 어렵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1930년에 해리 벡은 사실적인 지형과 축척은 무시하고 역 사이의 연결성에만 집중한 혁신적인 지하철 노선도를 창조했다. 해리 벡이 고안한 지하철 노선도는 역의 순서와 갈아타는 역의 표시르 제외하면 어느 것 하나 정확한 것이 없었다. 모든 역의 위치와 거리도 부정확했으며 심지어 경로를 표시한 직선은 실제로 지하철이 이동하는 경로와는 상관이 없었다." "해리 벡이 창조한 지하철 노선도의 핵심은 지도가 당연히 가져야 한다고 생각되는 '정확성'.. 2023. 8. 5.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2장) 이 책을 읽고 느낀 점 및 약간의 글귀를 기록하고자 한다. 2. 이상한 나라의 객체 "많은 사람들이 객체지향을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패러다임이라고 말하는 이유는 객체지향이 세상을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객체들로 분해할 수 있는 인간의 기본적인 인지 능력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객체지향 패러다임의 목적은 현실 세계를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 세계를 기반으로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내용을 예시로 들며 앨리스의 특징을 설명한다. ※ 앨리스의 특징 앨리스는 상태를 가지며 상태는 변경 가능하다. 앨리스의 상태를 변경시키는 것은 앨리스의 행동이다. 행동의 결과는 상태에 의존적이며 상태를 이용해 서술할 수 있다. 행동의 순서가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앨리스는 어떤 상태에 .. 2023. 8. 2.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1장) 이 책을 읽고 느낀 점 및 약간의 글귀를 기록하고자 한다. 1. 협력하는 객체들의 공동체 객체지향의 목표는 실세계를 모방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것이다. 단순히 실세계를 소프트웨어 안으로 옮겨 담는 것이 아니라 고객과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신세게를 창조하는 것이다. Bertrand Meyer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해결하려고 하는 실재는 잘해봐야 먼 친척밖에는 되지 않는다." Q. 그렇다면 왜 실세계 객체와 소프트웨어 객체 간의 대응할까? A. 실세계에 대한 비유가 객체지향의 다양한 측면을 이해하고 학습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 손님, 캐시어, 바리스타를 예시로 들며 역할, 책임, 협력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4가지 중요한 사실이 있다. 여러 사람이 .. 2023. 8.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