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순서제어 : TCP는 순서 번호 존재 (UDP는 순서번호 없음)
- 에러 제어(error control): TCP의 헤더에 checksum 이용 (UDP는 에러 검출만 가능)
- 흐름 제어(flow control) : 수신자 버퍼 크기 작을 때 수신자는 송신자에게 잔여량 알림
- 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 : 송/수신자 사이 라우터의 overflow 대비
- 전송 계층 프로토콜: TCP (문제를 많이 해결), UDP (문제를 조금 해결)
| 구분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UDP (User Datagram Protocol) | 
| 연결 방식 | 연결성 (CO) | 비연결성 (CL) | 
| End-to-End 사이 발생 문제 | 순서 제어, 에러 제어, 혼잡 제어, 흐름 제어 → 신뢰성 O | 신뢰성 X | 
| 네트워크 상태 | 안 좋을 때 (WAN) | 좋을 때 (LAN) | 
| 전송 거리 | 멀 때 | 가까울 때 | 
| 전송 데이터 양 | 길고 많은 데이터 | 짧고 적은 데이터 | 
| 실시간 데이터 | 불리 | 유리 | 
TCP 특징
1. 명확한 연결 설정 : 3 way handshake
2. Graceful 연결 해제

TCP 데이터 단위 : segment

- Port number : 특정 프로세스 식별
 1. Well-known port (잘 알려진 포트) : 0 ~ 1023
 2. Registered port (등록된 포트) : 1024 ~ 49151
 3. Dynamic port (동적 포트) : 49152 ~ 65535
- Sequence number : segment 내 데이터의 각 바이트에 대해 순서 번호 매김
- Acknowledgement number : ACK 메시지로 응답 할 때만 사용
- Header Length : TCP Header를 (4byte)로 나타냄 (word 단위)
- Reserved : reserved for future use
- Window Size : 흐름 제어 기법 (credit allocation)에서 사용 (수신부 → 송신부 ACK 보낼때 같이 전송. 잔여 버퍼량(CDT) 알림)
- Checksum : 오류 검출
- Urgent Pointer : 송신부가 긴급 데이터 전송 시 전송
- Flag bit
| URG | 긴급 데이터 전송 | 
| ACK | ACK 전송 | 
| PSH | 전송지연 없이 데이터를 즉시 상위 계층에 전달 | 
| RST | 연결 초기화 | 
| SYN | 연결 요청 | 
| FIN | 연결 해제 | 
반응형
    
    
    
  'CS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HCP, DNS, FTP (0) | 2023.09.03 | 
|---|---|
| TCP & UDP (0) | 2023.09.03 | 
| ARP & RARP, ICMP (0) | 2023.09.03 | 
| Routing Algorithm & IP Protocol (0) | 2023.09.02 | 
| WAN, Switching, Routing (0) | 2023.09.02 | 
 
                    
                   
                    
                  